작성자 : 관리자 |
![]() |
||
□ 제조업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산재 사망사고는 ‘끼임’사고로, 주로 수리나 정비, 청소 등 일상적이지 않은 상태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20년 전체 업무상 사고사망자: 882명 / 제조업 끼임 사고사망자: 60명 (잠정통계) □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이 최근 4년간(2016~2019년) 제조업 끼임 사망사고와 관련된 중대재해조사보고서 중 272건을 분석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사고의 대부분은 수리 등 비정형작업 중이거나, 제대로 방호조치를 하지 않은 채 작업하여 발생했다. ○ 수리, 정비, 청소 등 일상적이지 않은 상태에서 이뤄지는 비정형 작업 중 사고가 발생한 비율은 약 54%로, 실제 비정형작업이 이뤄지는 시간이 짧다는 점을 고려하면 비정형작업이 훨씬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기인물별로는 벨트컨베이어, 천장크레인, 지게차 순으로 사망재해가 많이 발생했으며, 방호설비 설치대상 132건 중 미설치로 인한 사망건수가 115건(87.1%)인 반면, 방호설비를 설치하였는데도 사고가 발생한 건수는 4건(3%)에 불과했다. □ 이번 분석자료는 최근 4년간의 중대재해조사보고서*를 분석한 것으로, 향후 산재사망사고 예방을 위한 정책 수립과 대책 마련에 활용된다. ※ 중대재해조사보고서: 사망자가 1명 이상 발생한 재해 등 중대재해(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3조)에 대하여 고용노동부와 공단이 원인조사를 실시하고 작성하는 보고서 ○ 재해발생일 기준 4년간(2016년~2019년) 제조업에서 발생한 끼임 사망사고 중 분석 가능한 중대재해보고서 272건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 이외에도 이 보고서에는 고용노동부 감독 이후 사업장의 재해율과 연근로손실일수가 1/5로 감소하는 것을 통계적으로 확인한 내용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보고서 전문은 안전보건공단 연구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연구원 홈페이지(http://kosha.or.kr/oshri) > 발간자료 > 연구보고서 「제조업 끼임 사망사고 감축 및 사업장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 검색 □ 김은아 산업안전보건연구원장은“산업현장에서는 여전히 끼임 사고와 같은 재래형 사망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며, “앞으로도 산재예방 연구·개발을 통해 현장성 높은 정책 마련과 사업 추진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끝) |
![]() |
2021년도 안전보건공단 체험형 인턴 채용 공고 |
---|---|
![]() |
「'21년도 석면해체·제거작업 안전성 평가」 실시 공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