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연구원 로고

검색
검색
메뉴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흡입노출 실험동물을 이용한 생체영향 지표 연구

연구책임자
조은상 외 2명
수 행 연 도
2017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1. 연구배경 생체지표(biomarker)는 자극에 대한 생체의 변화를 탐지해 낼 수 있는 일종의 정보로 화학 물질에 대한 체내 대사산물로 대표될 수 있다. 종양 지표 등 다양한 생체 지표들이 인정되고 새롭게 개발되고 있지만 독성 시험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지표들은 한정적이고 장기적 자극에 의한 손상을 탐지하는 지표가 대부분이다. 이에 흡입 독성연구센터에서 독성 시험을 수행 중인 동물을 이용해 흡입독성시험의 결과를 조기에 예측하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생체 지표를 실험적으로 탐색하려고 한다. 2. 주요 연구내용 - 연구결과 - 1) 생체지표의 특성 및 용도에 따른 분류와 산업보건 측면에서의 생체지표의 기존 활용 범위를 조사 연구하였다. 2) 일반적인 독성시험에서 활용되고 있는 생체 지표를 문헌 조사한 결과 흡입독성연구센터에서 수행하는 동물시험에서 분석하고 있는 생체지표와 대부분 일치하였다. 3) 2,6-디-삼차-부틸-파라-크레졸, 노말 프로필 알콜,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염산염, 테트라클로로에틸렌을 이용해 랫드에서 흡입독성 시험을 수행해 혈액 및 장기 시료를 분석했다. 4) 호흡기의 염증과 관련 있는 것으로 알려진 지표인 vWF, IL-1β, IL-10, IL-18, IL-2, IL-6, 및 VEGF의 농도는 시험물질에 의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5) 동일한 실험에서 기존에 수행해 왔던 혈액 생화학 검사를 통한 혈액 내 지표와 현미경 검경을 통한 장기의 형태학적 변화가 관찰되었다. 6) 소량의 시료를 이용하기 위해 실시한 Luminex 기법은 검출 농도의 한계로 저농도에서 분석의 신뢰도가 다소 감소되었다. - 시 사 점 특정 장기의 정확한 생체 지표 분석을 위해 장기 조직을 이용하거나 유전체 연구를 통한 분석이 민감성과 효율적 측면에서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3. 연구 활용방안 - 제 언 연구 결과를 통해 화학물질에 의한 장기 손상 기전 연구에 기여하고, 근로자의 건강 유해성 평가에 기초 자료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활 용 * 신규 화학물질의 연구 결과보고서 배포를 통해 기초 연구에 활용 * 유관학회(한국독성학회 등) 학술대회 발표 예정 4. 연락처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산업화학연구실 병리검사부 조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