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현장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산업안전보건정책 및 예방대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사업장을 대상으로 노동방식, 위험요인, 안전보건조직 및 활동, 업무변화, 안전의식 등을 조사합니다.
차수 | 연도 | 주요내용 |
---|---|---|
제1차 | 2002년 |
- 1년 주기 - 제조업 1,500개, 비제조업 500개 |
제2차 | 2003년 |
- 1년 주기 - 제조업 1,500개, 비제조업 500개, 건설업 500개 |
제3차 | 2004년 |
- 1년 주기 - 제조업 2,500개, 비제조업 1,500개, 건설업 500개 |
제4차 | 2005년 |
- 1년 주기 - 제조업 2,500개, 비제조업 1,500개, 건설업 500개 |
제5차 | 2006년 |
- 3년 주기로 변경 - 제조업 2,500개, 비제조업 2,500개, 건설업 1,000개 |
제6차 | 2009년 |
- 3년 주기 - 제조업 2,500개, 비제조업 2,500개, 건설업 1,000개 |
제7차 | 2012년 |
- 3년 주기 - 제조업 3,000개, 서비스업 3,000개, 건설업 1,000개 |
제8차 | 2015년 |
- 3년 주기 - 제조업 2,000개, 비제조업 2,000개, 건설업 1,000개 |
제9차 | 2018년 |
- 3년 주기, 국가승인통계 지정 - 제조업 2,000개, 비제조업 2,000개, 건설업 1,000개 |
제10차 | 2021년 |
- 3년 주기, 공표일: 2022.12.26.(월) - 제조업 3,000개, 비제조업 2,500개, 건설업 1,500개 |
제11차 | 2025년 |
- 3년 주기, 2026년 하반기 공표 예정 - 제조업 8,000개, 기타업종 19,000개, 건설업 3,000개 |
구분 | 내용 |
---|---|
사업체 특성 및 경영·투자 상황 |
- 현재 근로자 수(전체, 성별, 내외국인별, 만 55세 이상) - 경영상황 및 산업재해 예방 예산 현황 |
유해·위험요인 | - 유해위험 요소별 사업장(현장) 내 위험성 인식 |
산업 안전·보건관리 실태 |
- 산업안전보건 업무 수행 전담 부서 현황 - 산업안전/보건 전담 직원 현황, 안전보건관리자 선임 현황 - 위험기계·기구 보유 및 관리 현황 - 유해위험 요소별 위험성 평가 여부 - 위험성 평가 주체, 근로자 참여 여부, 평가 노력 정도, 하지 않은 이유 - 작업환경측정 실시 여부, 결과에 따른 조치 노력 정도 - 특수건강진단 실시 여부, 사후관리조치 대상자 유무, 조치 이행 여부 확인 - 휴게시간 및 휴게시설 - 산업안전보건 교육 및 훈련 실시 여부, 외부위탁 비율, 교육방법별 비율 - 근로자의 안전보건 참여를 위한 제도 및 활동 운영 여부, 도움 정도 - 작업중지권 인지 여부, 행사 여부, 활성화 방안 |
원청과 협력업체(하청) 안전·보건 활동 |
- 협력업체 현황, 협력업체 간 관계 정도 - 원청업체 현황, 원청업체 간 관계 정도 |
외부 지원 및 규제 |
- 중대재해처벌법의 안전 및 보건 확보 의무 인지 정도, 항목별 도움 정도 - 안전 및 보건 확보 의무 중 중점적으로 이행중인 의무 - 안전 및 보건 확보 의무 중 이행하기 어려운 의무 - 최근 3년간 산업안전보건 관련 고용노동부 감독 여부 - 사업장 자체 안전보건관리 - 최근 3년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정보 제공 및 지원 수혜 여부 - 안전보건 향상을 위해 도움받고 싶은 전문서비스 영역 |
응답 기본사항 |
- 사업체 기본사항(사업자등록번호, 법인등록번호, 사업장관리번호 등) - 응답자 정보(직급, 부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