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연구원 로고

검색
검색
메뉴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GHS 기준의 유해성, 위험성 분류 및 물질안전보건자료 작성

연구책임자
이은정(쉬스케미칼컨설팅), 박준호, 신의율, 노영만, 김강윤, 최연순, 이혜진
수 행 연 도
2015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I. 과제명 : GHS 기준의 유해성·위험성 분류 및 물질안전보건자료 작성 II. 연구 필요성 및 목적 본 과제에서는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제시하는 1,000종의 화학물질을 고용노동부고시 제2013-37호와 유엔경제사회이사회의 최신 GHS 지침서에 적합한 형태로 분류하며 이를 웹사이트의 DB에 입력하고, 분류 완료한 1,000종의 화학물질에 대하여 MSDS Editing program을 활용하여 MSDS를 신규 작성하였다.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시험기준을 제시하고, 분류업무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 참고자료 목록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사업장 지원방안 등을 제시함으로써 다양한 측면에서 화학물질로 인한 산업재해예방에 기여하고자 한다. III. 연구 내용 및 방법 ¡ 유해성·위험성 분류 및 엑셀 DB화 유해성·위험성 분류는 고용노동부고시 제2013-37호(화학물질의 분류·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기준)과 유엔경제사회이사회 (United Nations Economic & Social Council, ECOSOC)의 GHS 지침서 5차 개정판에 적합한 형태로, GHS 기준의 유해성·위험성 분류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작성(산업안전보건공단, 2014)의 GHS 분류 매뉴얼 및 물리적 위험성·건강 유해성·환경 유해성의 우선순위 DB목록을 참조하여 분류를 수행하였다. 화학물질 유해성·위험성 분류정보는 공단의 화학물질 전용 홈페이지에 적용하여 사업장 및 안전보건 관련 업무 종사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연구원에서 제시한 엑셀 형태로 DB화 하였다. 분류 결과는 국내(환경부, 국민안전처) 및 국외(유럽, 일본, 뉴질랜드 등)과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 최신의 오존층 유해성 물질 제시 오존층 파괴로 인한 지구 생태계 및 동·식물의 피해를 방지하기위한「비엔나 협약」후속의정서인 「몬트리올 의정서」의 규제물질 포함유무에 따라 분류한다. 오존층 파괴지수(ODP, Ozone Depletion Potential)는 CFC-11의 오존층 파괴 영향을 1로 하였을 때, 오존층 파괴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상대적 영향을 나타내는 값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몬트리올 의정서에서 채택된 규제물질을 최신화하여 전체 오존층 유해성 물질 목록을 작성하고 분류하였다. ¡ 교차검토 및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한 신뢰성 검증 GHS 분류가 완료된 1,000종 물질의 신뢰성 향상을 위하여 GHS 분류 및 MSDS 작성 매뉴얼을 기반으로 내부 참여원간 1차 교차검토하였다. 또한 교차검토가 완료된 화학물질은 외부 3개 분야(물리적 위험성, 건강 유해성, 환경 유해성)별로 각각 자문위원을 위촉하여 2차 신뢰성 검토를 수행하였으며, 관계 전문가 회의를 실시하여 분류결과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였다. ¡ 추가문구 제안 2015년 1월부터 시행된 화학물질관리법(이하 화관법)에서는 ‘유해화학물질의 취급기준’을 제시하였다.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자는 이러한 취급기준에 따라 취급하여야 하므로 해당 유해화학물질을 제조, 수입하는 자는 MSDS에 해당정보를 반영하여 전달하여야 할 것이다. 이에 MSDS Editing program 내 표준문구와 화관법의 유해화학물질 취급기준문구를 비교하여 보완이 필요한 문구를 검토하여 제안하였다. ¡ 표준문구 제안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제시하는 관리대상유해물질, 특별관리물질에 대한 취급기준을 MSDS의 응급조치 요령, 폭발화재 시 대처방법, 누출사고 시 대처방법, 취급 및 저장방법, 노출방지 및 개인보호구 항목에 적용될 수 있도록 표준문구를 제안하였다. ¡ MSDS 작성 분류 완료한 1,000종 화학물질은 공단의 「MSDS Editing program」을 활용하여 고용노동부고시 「화학물질의 분류?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기준」에 적합한 형태로 MSDS 16개 항목에 대한 정보내용을 신규 작성하여 소그룹별 자체 교차검토 및 외부의 4개 분야별(노출방지 및 독성분야, 폭발화재?누출 사고 대처 등의 화학물질 안전관리 분야, 환경관리 및 폐기관련 분야, 운송정보 분야) 전문가 및 기관에 의뢰하여 신뢰성을 검토하고, 관계 전문가 회의를 2회 이상 개최하여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조치하였다. ¡ GHS 메뉴얼 보완 2014년 작성된 GHS 분류 및 MSDS 작성 매뉴얼을 UN GHS 5차 개정에 적합한 형태의 매뉴얼로 보완하여 별첨으로 보고서에 수록하였다. 4.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는 화학물질의 유해성·위험성 분류 및 MSDS 작성을 위해 2013년 8월 14일 개정된 고용노동부고시 제2013-37호 및 UN GHS 지침서 5개정판에 따라 공단에서 제시한 1,000종의 화학물질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100%의 분류율로 1,000종 모두 분류되었다. 물리적 위험성은 물리적 성상, 분자구조 내 해당 작용기 포함 여부, 자료의 검색결과 등을 반영하여 100% 분류되었으며, 건강 유해성 분야는 999종이 분류되어 99.9%로 높게 구분되었으나 환경 유해성은 853종만이 분류되어 85.3%로 가장 낮게 구분되었다. 특히 환경 유해성은 물질 자체의 독성자료의 검색결과는 572종이었으며, 그 외 281종 물질은 구조활성예측프로그램(QSAR)을 활용하여 구분하였다. 유해성·위험성으로 분류된 결과는 엑셀 형태로 DB화 하였고, 교차검토 및 전문가 자문위원회를 거쳐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1,000종의 화학물질에 대해 GHS 분류를 수행한 결과와 환경부, 국민안전처 분류결과를 비교한 결과 환경부의 경우 85종, 국민안전처의 경우 35종이 중복되었다. 물리적 위험성의 일치율은 95.9~98.2, 건강 유해성은 94.7%, 환경 유해성은 89%의 일치율을 나타냈다. 1,000종의 화학물질에 대해 GHS 분류를 수행한 결과와 EU, 일본, 뉴질랜드와 같은 선진외국의 분류결과를 비교한 결과 EU의 경우 58종, 뉴질랜드의 경우 107종이 중복되었다. 일본에서 제공하고 있는 약 2,200여종의 물질과는 중복되는 물질이 없었다. 물리적 위험성의 일치율은 99.6~97.7%, 건강 유해성은 84.0~92.5%로 나타났고, 환경 유해성은 78.7~79.1%로 낮은 일치율을 나타냈다. 2015년 1월 시행된 화평법에 따른 화학물질안전정보 자료 내 정보제공 내용 항목은 공단에서 제공하는 MSDS 상 표준문구와 중복되는 문구가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어 MSDS Editing program상 표준문구와 화관법상 유해화학물질 취급기준 문구를 비교하여 근로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문구를 도출하였으며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규제되는 관리대상유해물질, 특별관리물질에 대한 특정 표준문구를 고려한 유해·위험 예방조치 문구를 제안하였다. 몬트리올 의정서에서 채택된 규제물질을 최신화하여 이성질체를 포함한 몬트리올 의정서 규제물질 총 242종의 물질을 목록화 하였으며 유해·위험성 분류결과 물리적 위험성 93.8%, 건강 유해성 42.4%, 환경 유해성 100%으로 분류하였다. GHS 분류가 완료된 1,000종의 물질에 대해서 수정 보완한 “GHS 화학물질 유해?위험성 분류 및 MSDS 작성 매뉴얼”을 활용하여 MSDS를 신규 작성하였다. 본 연구진은 중간심의회의 전문가 자문의견과 본 과제 수행을 통해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MSDS 최신화를 통한 국내·외 GHS 조화방안을 제시하였다. 5. 활용 및 기대효과 ¡ 공단에서 현재 보유하고 있는 MSDS DB를 업데이트하고, 공단 홈페이지 “GHS 체계 화학물질 위험?유해성 분류정보 DB 시스템”을 통한 사업장 및 안전보건 관련 업무 종사자에게 최신의 화학물질 분류?표지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GHS 교육에 따른 화학물질의 정확한 GHS 분류?표지는 화학물질 독성?위험정보에 대한 전문적 사항을 간결하고 이해하기 쉽게 제공하여 운송?저장?취급?폐기에 이르는 과정에서 화학물질 안전관리를 강화할 수 있다. ¡ 이해하기 쉬운 유해성 정보 전달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근로자의 건강과 환경 보호가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 GHS 조기 확립 및 신뢰성 있는 물질안전보건자료의 확보로 국제적 경쟁력이 상승할 것으로 기대된다. 6. 중심어 GHS, Physical Hazards, Health Hazards, Environmental Hazards, GHS Classification Manual, MS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