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연구원 로고

검색
검색
메뉴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산안법상 관리수준 결정을 위한 산업체 노출평가 연구

연구책임자
김치년
수 행 연 도
2014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1. 과제명 : 산안법 상 관리수준 결정을 위한 산업체 노출평가 연구 2. 연구 필요성 및 목적 노출평가(exposure assessment)는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노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노출수준이 어느 정도 인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평가하는 것으로 근로자의 노출양상(exposure profile)에 따라 건강 위험을 수용 가능한 수준인지 아니면 수용할 수 없어 관리를 해야 하는지 결정하게 된다. 특히 신뢰도가 높은 유해성 자료의 수집과 근로자의 노출양상(exposure profile)이 얼마나 대표성을 가지냐가 불확실성을 줄이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2013년 안전보건공단 연구용역 “노출기준 설정 화학물질의 산안법 관리 수준 결정을 위한 유해성 평가”에서 화학물질 관리 우선순위 방법을 결정하고 위험성에 따라 1 ~ 20 등급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2013년 유해성 평가에서 관리 우선순위가 높다고 선정한 물질을 대상으로 사업장 노출평가를 실시하여 근로자 건강 위험성을 판단하고 위험 수준에 따라 산안법상 관리수준을 제안한다. 2013년 연구과제가 연구대상 물질을 선정하기 위한 사전 연구였다면, 본 연구는 2013년 연구의 후속 연구로 연구대상 물질별 노출평가를 통해 유해?위험성 평가를 실시하고 정책제안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출기준 설정 대상 유해인자 중에서 산안법상 관리 수준 변경 검토가 필요하나 산업체 노출 실태(작업환경측정)가 실시되지 않은 연구대상 9종 화학물질을 대상으로 노출 평가(작업환경측정 및 사용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산안법상 관리수준 변경 제안하고자 한다. 3. 연구 내용 및 방법 ㅇ 대상물질 : 9 종 화학물질(화학물질 평가 실무위원회에서 선정한 7종 화학물질 및 전문가 연구회의에서 추가 결정된 2종 화학물질): 노말-부틸 글리시딜에테르, 와파린, 염화벤질, 디부틸 프탈레이트, 벤조피렌, 1,2-디클로로프로판, 인듐, 메틸 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아민 ㅇ 유해성 확인: 문헌 고찰을 통해 해당 화학물질들에 의한 인체영향에 대해 정량 및 정성적 분석을 통해 유해성 유무를 확인함. GHS 지침의 DB 선정체계에 따라 인체영향에 대한 유해성 자료 조사 ㅇ 용량-반응 평가: 인체 유해영향을 인체독성시험자료 혹은 동물독성시험자료를 활용,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작업장에서 물질들에 노출로 인한 근로자 위해도 결정에 활용될 독성값(무유해용량 NOAEL, 최소유해용량 LOAEL, 혹은 대안값)을 제안하며 발암 비발암성에 대한 유해도를 각각 조사 ㅇ 노출 평가: 고용노동부고시 제2013-39호(작업환경측정 등에 관한 고시)에 준한 방법으로 사업장을 직접 방문하여 예비조사 및 작업환경측정·분석 실시 ㅇ 위험성 결정: 2차 정밀 문헌조사를 통한 독성값 및 노출평가에서 산출된 근로자 노출량을 근거로 노출에 따른 작업자 집단에서 유해반응의 발생률(위험도)을 추정 ㅇ 국?내외 규제수준 조사: 우리나라 산업안전보건법상 관리되고 있는 규제 수준과 미국, 일본 등과 같은 선진외국의 규제수준을 비교 분석 ㅇ 관리수준 제시 : 노출평가에서 산출된 근로자 노출량을 근거로 노출에 따른 근로자 집단에서의 위험도를 결정하여 결과에 따라 산업안전보건법 상 규제 수준의 적정성을 검토하고, 근로자의 건강장해 예방을 위하여 적절한 관리 수준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관리수준의 제안 4. 연구결과 연구대상 물질 9종에 대하여 유해성 확인 및 용량반응 평가를 하였고, 노출평가를 실시하여 위험성 결정을 하였다. 용량-반응평가 결과 노말-부틸 글리시딜에테르은 0.09ppm(만성독성), 0.11ppm(생식독성)이고, 와파린은 0.01 mg/m3(만성독성), 0.007 mg/m3(발달독성)이고, 염화벤질 0.1ppm(만성독성), 0.4ppm(발달독성)이고, 디부틸 프탈레이트 1.3 mg/m3(만성독성), 2 mg/m3(생식독성)이고, 벤조피렌은 0.005 ug/m3(발암성)이고, 1,2-디클로로프로판은 0.004ppm(만성독성)이고, 인듐 0.05 mg/m3(만성독성)이고, 메틸 아크릴레이트 0.071ppm(만성독성)이고, 시클로헥실아민 0.5ppm이었다. 노출평가 및 위험도결정 결과에서 노말-부틸 글리시딜에테르는 0.082ppm(0.050 - 0.124ppm)으로 노출기준 10ppm을 초과 확률은 0.1%이하이었고, 평균 위험도는 0.4이었다. 와파린은 모두 불검출이었다. 염화벤질은 0.03ppm(불검출 - 0.1877)으로 노출기준 1ppm을 초과 확률이 0.3%이하이었고, 평균 위험도는 0.9이었다. 벤조피렌은 국내 취급사업장은 없어 노출평가를 실시하지 못하였다. 디부틸 프탈레이트는 0.002 mg/m3(불검출 - 0.022 mg/m3)으로 노출기준 5 mg/m3을 초과 확률은 0.1%이하이었고, 평균위험도는 0.006이었다. 1,2-디클로로프로판은 23.43ppm (0.06 - 327.09ppm)로 노출기준 75ppm을 초과 확률이 23%이었고, 위험도 초과율이 99.9%이었다. 인듐(총분진)은 18.6%이 노출기준 0.1 mg/㎥을 초과하였으며, 인듐(호흡성 분진)은 23.7%가 노출기준 0.01mg/㎥을 초과하였다. 메틸 아크릴레이트는 0.105ppm(0.129 ? 0.2388ppm)으로 노출기준 2ppm을 초과 확률이 0.1%이하이었고, 평균위험도 0.8이었다. 시클로헥실아민은 모두 불검출이었다. 노말-부틸글리시딜 에테르의 노출기준을 TWA 10ppm에서 TWA 3ppm으로 변경할 것을 제안한다. 인듐은 작업환경측정 대상 유해인자, 관리대상 유해물질로 지정하고 노출기준을 TWA 0.1 mg/m3에서 0.01 mg/m3(호흡성)으로 변경할 것을 제안한다. 1,2-디클로로프로판은 작업환경측정 대상 유해인자, 관리대상 유해물질로 지정하고 노출기준을 TLV-TWA 75ppm, STEL 110ppm에서 TLV-TWA 10ppm, STEL 철회할 것을 제안한다. 5. 활용방안 및 기대성과 ㅇ 발암성 및 비발암 전신독성을 구분하여 용량-반응 평가하여 위해도 결정에 활용될 독성값(무유해 용량 NOAEL, 최소유해용량, LOAEL, 혹은 대안값))조사, 표적장기 만성독성(반복노출) 자료 우선적 활용 ㅇ 유해성 등급이 높거나 직업병이 발생된 노출기준 설정 화학물질에 대한 산안법상 관리수준 변경(관리대상 유해물질 또는 특별관리물질 지정 등)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 ㅇ 화학물질관리(규제근거)의 기초자료 확보: 해당물질의 정확한 제조·취급·유통량 파악, 사업장 및 공정별 근로자 노출평가, 물질별 각국의 규제수준 비교 제시, 물질별 노출값과 RfC 비교 6. 중 심 어 노출평가, 산업안전보건법, 관리대상물질, 측정대상물질, GHS, 노말-부틸 글리시딜에테르, 와파린, 염화벤질, 디부틸 프탈레이트, 벤조피렌 1,2-디클로로프로판, 인듐, 메틸 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아민 7. 참고문헌 및 연락처 고용노동부. 산업안전보건법(시행령, 시행규칙,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2014. 고용노동부. 화학물질 및 물리적인자의 노출기준. 고용노동부고시 제2013-38호, 2013 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Industrial Hygienist (ACGIH). Threshold Limit Values for Chemical and Physical Agents, and Biological Exposure Indices. ACGIH, Cincinnati, Ohio; 2014 연구책임자: 연세대학교 산업보건연구소 김치년 교수 연구원 담당자: 산업안전보건연구원 화학물질센터 최연순 연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