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연구원 로고

검색
검색
메뉴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중부권역의 화학물질에 의한 암발생 관리체계 운영-폐암과 조혈기계암(직건)

연구책임자
임종한,김환철,오성수,김수근,정달영 등 총45명
수 행 연 도
2013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1. 연구제목 : 중부권역의 화학물질에 의한 암발생 관리체계 운영(폐암과 조혈기계암) 2. 연구 필요성 및 목적 현재의 직업성 질환 진단 및 관리체계는 산업안전보건법상 수행되고 있는 특수건강진단 등에 의존하고 있는 한계로 인해 일부의 직업성질환을 제외한 직업성질환의 진단율이 매우 저조하여 실제의 직업성질환 발생률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표본설계를 고려하는 등 효율적 보고.수집.분석.환류체계의 연구를 통하여 병원별,지역별 추정치를 산출, 중앙감시체계에서 전국 규모의 통계지표 생산이 필요하며 권역별 감시대상 대학병원을 통해 수집된 감시자료를 토대로 국내 근로자의 직업성암 발생의 특징과 사례, 규모를 추정하여 직업병 통계제도의 개선과 산재예방지표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업성 폐암 및 조혈기계암과 관련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자료 보고.수집.분석.환류 등을 가능케 하는 직업성암 감시체계 운영을 목표로 한다. 세부 목표는 중부권역의 주요 암(폐, 조혈기계) 감시체계 모델 개발 및 운영을 통해 전국단위 발생률 추정치를 산출하고 효율적인 감시 업무 수행, 감시체계 질 향상 및 감시자료 환류를 위한 중앙감시체계와 업무협조체계를 개발하는 것이다. 3. 연구내용 및 방법 본 연구는 2012년도 2차년도 연구로 수행된「화학물질에 의한 권역 중심 직업성 암발생 감시체계(중부권역 폐암과 조혈기계암)」연구에 대한 후속연구로 감시체계의 설계, 설치와 운용 및 정보관리의 세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감시체계의 설계에서는 연구자 간의 회의, 문헌고찰 및 1,2차년도 연구 결과를 토대로 표준화된 환례 정의, 업무관련성 평가의 틀, 표준화된 조사방법을 개발하였다. 이후 중부권역의 지역별로 거점병원들을 조사 대상 병원으로 선정하여 확립하고 감시체계 운영의 틀을 만들었다. 감시체계의 설치 및 운용은 위의 과정을 거쳐 설계된 감시체계를 실제 조사대상 병원의 신환 폐암?조혈기계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시행하고 1,2차 검토를 통하여 업무관련성 평가와 노출 물질 규명을 시행하였다. 감시체계의 정보관리는 감시체계 데이터베이스 및 홈페이지 구축을 통하여 자료의 획득과 관리 방법을 제시하였다. 4. 연구결과 본 연구진은 산업안전보건연구원, 남부권역 감시체계와 함께 환례 정의, 업무 관련성 평가 방법, 조사 방법을 표준화하였으며 이를 보조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고 홈페이지를 구성하여 효율적인 감시체계를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이루었다. 또한 실제 조사병원들에서 임상과 연구원과 환례조사원 등이 참여하는 감시체계를 구축하였다. 올해 각 병원에서 조사를 완료한 환례는 폐암이 1002건, 조혈기계암이 248건이었다. 목표건수 대비 달성률은 폐암 119%, 조혈기계암 121%로서 전체적으로 연구계획상 설정된 목표를 초과하여 달성하였다. 폐암의 경우 전체 1002건 중 업무관련성이 확실함(Definite)이 14건(1.4%), 가능성 높음(Probable) 53건(5.3%), 가능성 있음(Possible) 252건(25.1%)이었다. 업무관련성평가에서 가능성 있음(possible) 이상인 환례에 국한하여 1순위 추정유발물질 및 공정별 분포를 파악했을 때 비비소계 살충제(직업적 살포, 사용)이 37.9%로 가장 분율이 높았고, 디젤엔진 배출물질이 16.6%, 결정형유리 규산 11.6%, 석면, 석면함유 활석 등 포함 이 10.3% 순이었다. 한편, 조혈기계암의 경우 전체 248건 중 업무관련성 평가가 확실함(Definite)이 1건(0.4%), 가능성 높음(Probable) 3건(1.2%), 가능성 있음(Possible) 10건(4.0%)이었다. 업무관련성평가에서 가능성 있음(possible) 이상인 환례에 국한하여 1순위 추정 유발물질 및 공정에 대한 분포를 파악했을 때 벤젠이 10건(71.4%)으로 가장 높은 분율을 차지했고, 가솔린, 다이옥신, 라 돈, 비비소계살충제가 각각 1건이었다. 중부권역과 남부권역을 통합한 전체 환례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업무관련성 평가에서 가중치를 적용하였을 때 2013년 발생한 우리나라 폐암 중 2.2% (80명 추정)가 업무관련성이 확실(definite)할 가능성이 높고, 7.3%(1,288명 추정)가 업무관련 가능성이 높음(probable)으로 의심되어 전체적으로 9.5% 정도에서 업무와 관련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며(1,368명 추정), 조혈기계암 중 0.7% (53명 추정)가 업무관련성이 확실(definite)할 가능성이 높고, 3.3% (253명 추정)가 업무관련 가능성이 높음(probable)으로 의심되어, 전체적으로 4.0% 정도에서 업무와 관련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306명 추정). 발암 물질별 업무관련성 평가에서 폐암의 경우 업무관련성이 Probable 이상인 경우 가중치를 주어서 추정한 결과, 비비소계 살충제(직업적 살포, 사용) 442명(25.6%), 석면?석면함유 활석 374명(21.6%), 디젤엔진 배출물질 355명(20.6%), 결정형 유리규산 226명(13.1%)의 순이었으며, 조혈기계암의 경우 비비소계 살충제 706명(36.3%)으로 가장 많았고, 벤젠 655명(33.7%), 라돈-222와 그 붕괴 생성물 127명(6.5%), 가솔린(휘발유) 98명(5.0%)의 순이었다. 기여분율은 폐암의 경우 석면, 석면함유 활석은 4.77%, 결정형 유리규산은 3.98% 그리고 디젤엔진 배출물질은 6.70%로, 조혈기계암의 경우 벤젠은 6.70%로 조사되었다. 표준산업분류 중분류에 따른 폐암의 표준화 발생률은 석탄?원유 및 우라늄 광업 45.29(35.95-54.52)로 가장 높았으며, 재생용 가공원료 생산업 24.50(15.38-35.71), 수상 운송업 21.21(17.87-25.31),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14.93(12.68-17.51), 비금속 광물 광업; 연료용 제외 14.28(10.73-19.00) 순이었으며 조혈기계암의 표준화 발생률은 담배 제조업 44.80(32.17-57.86)으로 가장 높았으며, 석탄?원류 및 우라늄 광업 14.26(9.11-21.57), 비금속 광물 광업; 원료용 제외 13.44(9.30-18.21), 연구 및 개발업 11.79(9.29-14.78), 전기?가스 및 증기업 11.10 (8.99-13.63)의 순으로 나타났다. 표준직업분류 중분류에 따른 폐암의 표준화 발생률은 통신판매 종사자 95.31(77.61-113.21)으로 가장 높았으며, 컴퓨터 관련 전문가 17.11(13.32-22.09), 과학관련 기술 종사자 16.35(9.53-24.73), 금속.기계 및 관련 기능 종사자 15.25(13.74-16.93)의 순으로 조혈기계암의 표준화 발생률은 과학 전문가 54.13(44.01-65.46)로 가장 높았으며, 보건의료 준전문가 13.79(10.63-17.11), 사회서비스 및 종교 준전문가 12.40(9.88-15.42), 보안서비스 종사자 8.87 (7.46-10.49)의 순으로 나타났다. 5. 활용방안 및 기대성과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폐암 및 조혈기계암의 발생 추이를 파악하고 직업적 요인 노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감시체계의 운영하였으며 환례 정의 및 업무 관련성 평가의 표준화, 조사체계, 환례 보고, 조사 내용 및 방법의 표준화를 이루었다. 또한 양 권역 직업성암 감시체계 연구팀간 긴밀한 상호 협력을 통해 대표성이 있는 국가적 직업성암 자료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직업성암의 고위험 직종을 파악하여 향후 직업성암 예방관리 대책수립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 활용될 것이며 고위험 사업장에 암예방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되는 전국적 직업성암 통계지표는 향후 직업성암 예방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암감시체계 결과에 대한 적극적 홍보를 통해 직업성암의 산재요양체계와의 연계를 확보할 수 있으며 근로자, 일반인, 의료진에게 직업성암의 인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 알려진 고위험군 이외에 새롭게 확인되는 위험 직종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자극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을 것이다. 6. 중 심 어 : 직업성 암, 감시체계, 폐암, 조혈기계암, 중부권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