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연구원 로고

검색
검색
메뉴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화학물질에 의한 권역중심 암발생 관리모델 개발연구(II)-중부권역 폐암과 조혈기계암

연구책임자
임종한외 30명
수 행 연 도
2012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1. 연구제목 : 화학물질에 의한 권역 중심 암발생 관리모델 개발연구(Ⅱ)_중부권역 폐암과 조혈기계암 2.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직업성질환 감시체계는 직업병 집단 발생을 확인하고 잘 알려지지 않은 직업병 발생의 시?공간적인 변화를 파악하여 새로운 유해물질에 의한 신종 직업병을 발견하고 그 발생원인에 대한 연구를 자극하는 기능을 갖는다. 현재의 직업성 질환 진단 및 관리체계는 산업안전보건법상 수행되고 있는 특수건강진단 등에 의존하고 있는 한계로 인해 일부의 직업성질환을 제외한 직업성질환의 진단율이 매우 저조하여 실제의 직업성질환 발생률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표본설계를 고려하는 등 효율적 보고?수집?분석?환류체계의 연구를 통하여 병원별?지역별 추정치를 산출, 중앙감시체계에서 전국 규모의 통계지표 생산이 필요하며, 권역별 감시대상 대학병원을 통해 수집된 감시자료를 토대로 국내 근로자의 직업성암 발생의 특징과 사례, 규모를 추정하여 직업병 통계제도의 개선과 산재예방지표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직업성암에 관련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직업성 감시체계의 설계 및 운영을 통하여 직업성 질환 발생 추이를 파악하고 유해 요인 노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3. 연구내용 및 방법 본 연구는 2011년도 1차년도 연구로 수행된「화학물질에 의한 권역 중심 직업성 암 발생 감시체계」연구에 대한 후속연구로 감시체계의 설계, 설치와 운용 및 정보관리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감시체계의 설계에서는 연구자 간의 회의, 문헌고찰 및 1차년도 연구 결과를 토대로 표준화된 환례 정의, 업무관련성 평가의 틀, 표준화된 조사방법을 개발하였다. 이후 중부권역의 지역별로 거점병원들을 조사 대상 병원으로 선정하여 확립하고 감시체계 운영의 틀을 만들었다. 감시체계의 설치 및 운용은 위의 과정을 거쳐 설계된 감시체계를 실제 조사 대상 병원의 폐암?조혈기계암 신규 진단 환자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시행하고 1?2차 검토를 통하여 업무관련성 평가와 노출 물질 분석을 시행하였다. 감시체계의 정보관리는 감시체계 데이터베이스 및 홈페이지 구축을 통하여 자료의 획득과 관리 방법을 제시하였다. 4. 연구결과 본 연구진은 산업안전보건연구원, 남부권역 감시체계와 함께 환례 정의, 업무 관련성 평가 방법, 조사 방법을 표준화하였으며 이를 보조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고 홈페이지를 구성하여 효율적인 감시체계를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이루었다. 또한 실제 조사병원들에서 임상과 연구원과 환례조사원 등이 참여하는 감시체계를 구축하였다. 폐암의 경우 총 1,037건이 조사되었으며 업무관련성이 확실함(Definite)이 10건(1.0%), 가능성 높음(Probable) 65건(6.3%), 가능성 있음(Possible) 224건(21.6%) 이었다. 업무관련성평가에서 가능성 있음(possible) 이상인 환례에 국한하여 1순위 추정유발물질 및 공정별 분포를 보면 비비소계 살충제(직업적 살포, 사용)이 44.8%로 가장 분율이 높았고 디젤엔진 배출물질이 16.7%, 결정형유리규산 11.7%, 석면 3.3% 순이었다. 한편 조혈기계암의 경우 총 227건이 조사되었으며 이 중 업무관련성이 확실함(Definite)이 0건, 가능성 높음(Probable) 6(2.6%), 가능성 있음(Possible) 56(24.7%) 이었다. 업무관련성평가에서 가능성 있음(possible) 이상인 환례에 국한하여 1순위 추정 유발물질 및 공정에 대한 분포를 보면 비비소계 살충제이 46.8% 로 가장 높은 분율을 차지했고 벤젠 12.9%, 포름알데히드 12.9%, 라돈 4.8% 순이었다. 또한 각 산업분류 및 직업분류별 비례발생비, 표준화발생비 등의 분석을 시행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내에서 벤젠에 대한 직무(또는 공정이나 업종)별로 시기별 노출을 평가한 직무-노출 매트릭스를 구축을 위해 국내에서 발표된 연구논문과 보고서 등 문헌고찰을 시행하였다. 5. 활용방안 및 기대성과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폐암 및 조혈기계암의 발생 추이를 파악하고 직업적 요인 노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감시체계의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환례 정의 및 업무 관련성 평가의 표준화, 조사체계, 환례 보고, 조사 내용 및 방법의 표준화를 이루었다. 또한 양 권역 직업성암 감시체계 연구팀간 긴밀한 상호 협력을 통해 대표성이 있는 국가적 직업성암 자료를 산출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였고 향후 지속적인 감시체계 운영을 통해 중요한 성과를 낼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직업성암의 고위험 직종을 파악하여 향후 직업성암 예방관리 대책수립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 활용될 것이며 고위험 사업장에 암예방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되는 전국적 직업성암 통계지표는 향후 직업성암 예방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암감시체계 결과에 대한 적극적 홍보를 통해 직업성암의 산재요양체계와의 연계를 확보할 수 있으며 근로자, 일반인, 의료진에게 직업성암의 인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 알려진 고위험군 이외에 새롭게 확인되는 위험 직종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자극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근로자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을 것이다. 6. 중 심 어 : 직업성 암, 감시체계, 폐암, 조혈기계암, 중부권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