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연구원 로고

검색
검색
메뉴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현행 특수건강진단제도상 생물학적노출지표 선정의 유효성 평가(I)

연구책임자
이미영
수 행 연 도
2012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1. 연구제목 : 현행 특수건강진단제도상 생물학적 노출지표 선정의 유효성 평가(I) - 톨루엔 - 2.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톨루엔의 작업환경 노출 기준은 50 ppm으로 변경되어 5년째 적용되고 있으나 이에 해당하는 생물학적 노출 기준은 변경 전의 100 ppm 기준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어 변경된 50 ppm에 해당하는 생물학적 노출 기준 변경이 필요함. 한편, 소변 중 마뇨산은 외부 요인의 영향이 커서 저농도 톨루엔 노출 평가를 위한 효용성이 논란이 되었고 미국 ACGIH에서는 이미 2009년 삭제된 항목임. - 2010년 생물학적 노출평가 연구에서 소변중 마뇨산 노출 기준을 1.6g/g 크레아티닌으로 변경할 것을 제안한 바 있고 이를 위한 국내 노출평가 현황 조사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본 연구에서는 소변 중 마뇨산 항목의 노출 기준 변경을 위해 톨루엔의 노출 평가에 대한 최근 국내 노출 현황을 파악하여 이를 관련 노출 기준 변경안의 근거 자료로 활용 하고자 함 3. 연구 내용 및 방법 - 연구 대상 · 2003-2010년 산업안전공단에 보고된 특수건강진단 전산 자료 및 2012년 부분위탁 연구로 동시 추진하는 ‘유해요인의 구내근로자 노출 현황 연구’ 대상 노출군과 대조군 근로자를 연구 대상으로 함. - 국내외 노출 평가 현황 연구 · 특수건강진단 통계 자료 해석(2003-2010년) · 국내 현장 시료 분석(부분위탁과제 연계 추진) · 국내외 노출평가 문헌 조사 - 신규 노출 평가 제안 항목에 대한 노출 평가 · 소변 중 마뇨산 및 기타 생물학적 노출 평가 유효성 보고 항목 대상 : 소변 중 마뇨산, o-톨루엔, 혈액 중 톨루엔 분석(부분위탁연구) 소변 중 코티닌 · 노출 평가 수행 - 규정 개정안 제시 · 톨루엔 생물학적 노출 평가 지표 및 기준안 제시 3. 연구결과 - 2003년-2010년의 8년간 특수건강진단 보고 자료 총 757,800건 : 노출 기준 2.5 g/g 크레아티닌 초과 건수 0.6%, 직업성 질환 판 정 근로자 28명(초과 건수의 0.6%), 1.6 g/g 크레아티닌 초과 건수 2.2%, 직업성 질환 판정 근로자 30명(초과 건수의 0.2%) - 톨루엔 노출군 및 비노출군 대상 실태 조사 : 총 19개 사업장 노출 근로자 168명 및 사무직 근로자 30명 대상 노출군과 대조군의 소변 중 마뇨산 (0.03 - 3.74, 0.02 - 0.48 g/g creatinine), 소변 중 o-크레졸 (0.002 - 3.06, 0.002 - 0.24 mg/L), 혈액 중 톨루엔 (0.003 - 1.32, 0.003 - 0.082 mg/L)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임 o-크레졸은 공기 중 톨루엔 10 ppm까지, 소변 중 마뇨산은 공기 중 톨루엔 5 ppm까지 상관성 유지, 5 ppm 이하는 혈액 중 톨루엔만이 공기 중 톨루엔과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냄 - 생물학적 지표 노출 기준 : 툴루엔 노출기준 50 ppm 노출에 해당하는 소변 중 마뇨산 1.6 g/g creatinine, 소변 중 o-크레졸 0.8 mg/L, 혈액 중 톨루엔은 1.0 mg/L로 변경 제안 5. 활용방안 및 기대성과 (1) 활용방안 - 소변 중 마뇨산의 노출 지표 유효성 및 기준값 변경 및 후속 사업 추진 - 국내 톨루엔 취급 사업장 노출실태 및 통계 자료 분석을 통하여 현행 소변 중 마뇨산의 생물학적 노출 평가 기준 변경안 제시 (2) 기대성과 - 톨루엔 노출 평가 관련 기준 개정 및 제정을 위한 현실적인 근거를 제시 - 국내 톨루엔 노출 평가를 위한 실용적인 기준을 제시하고 이를 국내 규정에 반영함으로써 실질적인 노출 평가 수행에 기여함 6. 중심어 기중 톨루엔, 생물학적 노출 기준, 소변 중 톨루엔, 마뇨산, o-크레졸, 혈액 중 톨루엔7. 참고 7. 문헌 및 연락처 * 참고문헌 (1) American Conference of Governemtal Industrial Hygienists(ACGIH): Toluene. Documentation of the Threshold Limit Values and Biological Exposure Indices, ACGIH, Cincinnati, OH; 2010. (2) Brugnone F, Gobbi M, Ayyad K, et al. Blood toluene as a biological index of environmental toluene exposure in the "normal" population and in occupationally exposed workers immediately after exposure and 16 hours later. Int Arch Occup Environ Hlth. 1995;66:421-25. (3) Ducos P, Berode M, Francin JM, et al. Biological monitoring of exposure to solvents using the chemical itself in urine: application to toluene.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2008;81:273-84. (4) Inoue O, Kawai T, Ukai H et al. Limited validity of o-cresol and benzylmercapturic acid in urine as biomarkers of occupational exposure to toluene at low levels. Ind Health. 2008;46:318-25. (5)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근로자건강진단 실무지침. 한국산업안전공단;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