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연구원 로고

검색
검색
메뉴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화학물질에 의한 서울 경기-충청-강원권역 중심 암발생 감시체계 개발(1차연구)

연구책임자
임종한,고상백,공지현,권순찬,김내유,김세규,김수근,김수영,김영태,김윤섭,김인호,김정원,김철수,김현주,김환철,류정선,문영철,신명희,심영목,오성수,용석중,원종욱,이현규,정최경희,조용선,최상준,최창민,홍윤철,강충원
수 행 연 도
2011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직업성 질환 감시체계는 직업성 암에 대한 중재 및 예방사업에 필요한 기초 정보를 제공, 유사 및 동종 사업장에 대한 교육과 홍보를 위한 근거 자료로 직업병 예방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직업성 암에 관련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자료 수집, 분석, 관리, 정보 배포 등을 가능케 하는 직업성 암 감시체계 구축을 하며 특히, 직업성 폐암과 조혈기계암을 중심으로 감시체계를 운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연구 내용 및 방법 당해 연도의 세부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지역 암 감시체계 설계 (2) 지역 암 감시체계 시범 운영 (3) 운영 결과 보고 (4) 연구 윤리위원회 (IRB) (5) 지역 암 감시체계 구축 3. 연구 결과 서울·경기-충청-강원권역 직업성 암 감시를 위해 감시체계는 삼성서울병원, 서울아산병원, 세브란스병원, 인하대병원, 서울대병원, 강북삼성병원, 연세원주기독병원, 한양대구리병원, 단국대병원, 을지대병원, 강북삼성병원이 참여하여 총 11개 병원으로 구성되며, 각 병원의 산업의학과와 호흡기내과 전문의가 참여하였다. 감시체계에 참여하는 각 지역 감시자들은 해당 병원의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새로운 직업성 암 발생을 확인하고 감시대상으로 선정된 환자 면담 후 직업성 암 환례보고서를 작성하여 보고하였다. 직업성 암 환례 정의는 명확한 진단 (진단명, 진단방법, 방사선학 진단 또는 병리학적 진단 소견), 발암물질 노출여부 (추정유발 물질 및 작업), 잠재기를 기준을 설정하였고 세 가지 항목을 종합하여 직업 관련성을 평가하였다. 금년도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2011년 서울, 경기, 충청, 강원권역에서 진행된 직업성 폐암 감시체계에 참여한 환례 보고원 (교수)은 총 47명, 환례 조사원은 총 19명이었고 직업성 조혈기계 암 감시체계에 참여한 환례 보고원 (교수)은 총 13명, 환례 조사원은 총 15명이었다. - 2011년 서울, 경기, 충청, 강원권역에서 진행된 직업성 암 감시체계에서 5개월 보고기간 동안 단순조사를 통해 폐암은 1,648례, 조혈기계암은 398례가 보고되었고, 이 중 심층조사를 통해 폐암은 83.1%(1369례), 조혈기계암은 70.4%(280례)가 세부 직업력이 파악되어 직업 관련성 평가가 이루어졌다. - 2011년 서울, 경기, 충청, 강원권역에서 진행된 직업성 폐암 감시체계에서 심층조사를 통해 총 1,367명의 폐암 환자들의 직업력이 보고되었다. 이들 중 직업 관련성이 확실한(definite) 환례는 16례(전체의 1.2%), 가능성 높음(probable)은 54례(3.9%), 가능성 있음(possible)이 340례(24.8%)였다. 즉, 폐암의 직업 관련성이 높음(probable) 이상인 환례는 70례로 직업력이 파악된 전체 환례의 5.1%였으며, 직업 관련성을 가능성 있음(possible) 이상으로 확장하면 410례(29.9%)였다. - 폐암의 직업 관련성 가능성 높음(probable)이상인 환례에서의 추정유발 물질 및 공정의 분율을 분석한 결과, 석면과 결정형 유리규산이 각각 19례 (probable 이상 환례의 12.8%)로 가장 많았으며, 살충제 제조 및 살포 16례, 디젤엔진 배기가스 12례, 라돈 11례 순이었다. - 2011년 서울, 경기, 충청, 강원권역에서 진행된 직업성 조혈기계암 감시체계에서 심층조사를 통해 총 280명의 조혈기계암 환자들의 직업력이 평가되었다. 이들 중 직업 관련성이 확실한(definite) 환례는 1례(전체의 0.4%), 가능성 높음(probable)은 17례(6.1%), 가능성 있음(possible)이 33례(11.8%)였다. 즉, 조혈기계암의 직업 관련성이 높음(probable) 이상인 환례는 18례로 직업력이 파악된 전체 환례의 6.5%였으며, 직업 관련성을 가능성 있음(possible) 이상으로 확장하면 51례(18.3%)였다. - 조혈기계암의 직업 관련성 가능성 높음(probable)이상 (즉, definite + probable)인 환례에서의 추정유발 물질 및 공정의 분율을 분석한 결과, 비비소계 살충제가 7례 (probable 이상 환례의 20.0%)로 가장 많았고, 비소가 6례(17.1%), 벤젠 4례, 포름알데히드와 트리클로로에틸렌 각각 3례, 신너(솔벤트)와 다이옥신(TCDD) 각각 2례, 방사선 1례이었다. 4. 활용 및 기대효과 1) 우리나라에서 효과적인 직업성 폐암 및 조혈기계 암 감시체계의 구축에 주도적인 기여 2) 근로자 특수건강진단에서 발견하지 못한 폐암 및 조혈기계암의 중점적 접근 3) 대학병원 산업의학과 외래의 직업병 확진체계와 직업병 감시체계의 연결 4) 전국적인 직업성 질환 감시체계 구축시 모델로 활용 가능 5) 국내 직업성 암과 관련한 역학자료 제공, 국제 비교 가능한 암 자료 제시. 6) 임상의들의 직업성 폐암 및 조혈기계암 진단 지침 제공 7) 직업성 암 분야에 있어 의사의 전문적인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산업 의학에 있어 교육과 수련의 기회 제공 8) 직업성 폐암 및 조혈기계암 예방대책,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제공 5. 중 심 어 직업성 폐암, 직업성 조혈기계암, 감시체계, 직업 관련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