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로고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사고사망속보 검색
검색
메뉴

자료마당

  • 자료마당
  • 통합자료실
  • 연구보고서
  • 연구원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흡입독성시험 증기발생장치의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김용순 외 2명
수 행 연 도
2021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1. 연구배경
  o 기존 증기발생장치의 단점 개선 필요
   - 흡입독성시험 수행을 위해 목표농도의 발생 가능성 확보  
   · 흡입챔버 내에서 시험물질을 목표하는 농도로 일정하게 노출 및 분석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매우 중요
   · 기존 증기발생장치는 이동에 제한이 있는 고정식 장치로, 발생장치와 노출챔버 간의 일정한 거리가 있어 시험물질 발생 농도의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어 이를 보완할 필요가 있음 
2. 주요 연구내용
 □ 연구결과
  o 기존 발생장치의 문제점 및 개선가능 항목 검토
  - 거리, 온도, 응축, 관직경, 버블링, 증기압에 관해 검토 
  - 검토 항목 중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는 거리, 버블링을 중점으로 연구를 진행
  o 증기발생장치 시제품 제작
  - 가스 세척병(gas washing bottle)에서 얻은 아이디어를 활용하여 발생조 제작(발생장치Ⅰ) 
  - 시험물질의 발생을 위하여 제작된 발생조를 항온수조에 넣고, 항온수조의 부력에 의한 발생조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장치를 제작 및 부착(발생장치Ⅰ)
  - 기존발생장치를 활용한 발생장치를 추가로 제작(발생장치Ⅱ)
  -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작하여 발생기와 챔버 사이의 거리를 줄임(발생장치Ⅰ, 발생장치Ⅱ)
  o 기존 발생장치 및 제작된 발생장치의 유량별 노출농도 비교
  - 기존 고정식 발생장치, 가스 세척병 형태를 이용한 발생장치(발생장치Ⅰ) 및 기존 발생조를 활용한 발생장치(발생장치Ⅱ)의 유량별 노출농도 비교
  - 노출농도 및 T95(흡입챔버 내 목표농도의 95%에 도달하는 시간) 측정
  - 측정결과, 제작된 발생장치는 직접적인 결과만 볼 때 낮은 유량에서만 높은 농도를 발생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음
  - 하지만, 제작한 발생장치의 발생조의 크기를 고려한다면, 적절한 보완을 거치면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의 발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음  
 □ 시사점
  o 흡입독성시험 및 연구를 위한 발생장치의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필요함
  - 발생 및 분석은 흡입독성시험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충족되어야 하는 조건임
  - 발생장치는 발생방법, 수조온도, 공기유량, 계절에 따른 기온변화, 농도측정방법, 관경의 길이, 관경의 굵기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연구가 요구되며, 구성 부품의 제작기술과 충분한 제작 소요시간 또한 요구됨
  - 증기발생장치의 개선 및 개발은 장기적인 관점의 연구가 수행되어야 함 
3. 연락처
 - 연구책임자: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산업화학연구실 김용순
 - 연락처: 042-869-8512
 - e-mail: somays@kosha.or.kr

문의처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