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연구원 로고

검색
검색
메뉴

연구보고서

연구 보고서

중장기적인 정책연구과제와 대안을 포괄적인 시각에서 이론적 · 실중적 분석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연구원의 설립목표를 가장 잘 실행하고있는 보고서입니다.

LCD 제조공정 세척제(N-methylformamide)의 생체영향 연구

연구책임자
이미주 외 4명
수 행 연 도
2019년
핵 심 단 어
주 요 내 용

1. 연구배경

- N-methylformamide(NMF)는 많은 사용량과 사용방법에 비해 독성 연구 자료가 부족함

- 내부적으로 독성시험을 실시하여 조직병리학적 변화가 관찰된 간, 비강, 침샘, 수컷 고환, 암컷 자궁 등에 대한 형태적 특징을 분석함으로 변화의 원인을 확인하고자 하였음

- 조직병리학적인 변화는 없었으나, 노출경로인 폐에 대해서도 조직병리학적 기법을 활용하여 변화여부를 추가적으로 분석하였음

 

2. 주요연구내용

- NMF 고농도 노출시 대조군 대비 체중이 감소하였음

- 조직병리학적으로 간에서는 간세포 창백/비대 및 색소 침착 소견이 관찰되었는데, 창백/비대는 대사 효소인 cytP450 2E1의 발현과 관련이 있었고, 색소침착은 iron 염색을 통해 헤모시더린으로 확인됨

- 비강은 출혈, 이행상피 및 점액세포 과형성, 염증 등이 관찰되었는데, cytP450 2E1의 발현은 동반되지 않았으며, AB-PAS 양성 반응의 증가로 점액세포 과형성과, caspase-3 발현(13)을 통해 세포자살을 확인하였고, trichrome 염색성 증가(13)로 회복도 동시에 일어남을 확인하였음

- 침샘은 악하선 및 이하선에서 선방세포의 비대가 관찰되었으며, cytP450 2E1, caspase-3, trichrome, AB-PAS 등의 검사에서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음

- 노출경로인 폐에서는 trichrome AB-PAS 염색결과 섬유아세포 증식이나 점액세포 과형성 등은 관찰되지 않았음

- 수컷 고환은 조직병리학적으로 7단계 생식세포의 변성이 관찰되었으며, PAS 염색결과에서도 그 이외의 변화는 확인되지 않았음

- 암컷 자궁은 조직병리학적으로 위축이 관찰되었으며, AB-PAS 염색 결과에서 점액세포의 변화나 혈중 estradiol의 농도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음

 

3. 연구담당자 :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산업화학연구실 이미주 연구위원